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1522-8198

FAX055-338-0949

자료실

바다는 미래로부터 빌려온 귀중한 유산입니다.

해양정보 | 바다 위 거대 쓰레기섬 5개…‘식탁 공동체’ 한·중 공동 대처를 [출처: 중앙일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12-16 21:17 조회6,924회

본문

 

바다 위 거대 쓰레기섬 5개…‘식탁 공동체’ 한·중 공동 대처를

플라스틱 아일랜드 ④ <끝>

태평양 바다 한 가운데를 맴돌고 있는 남한 면적 16배 크기의 거대 플라스틱 쓰레기 섬(GPGP)에 모인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는 비영리 환경단체 오션 클린업의 장치. [사진 오션 클린업]

태평양 바다 한 가운데를 맴돌고 있는 남한 면적 16배 크기의 거대 플라스틱 쓰레기 섬(GPGP)에 모인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는 비영리 환경단체 오션 클린업의 장치. [사진 오션 클린업]

지난 2011년 3월 일본을 떠난 거대한 ‘쓰레기 섬’이 태평양을 건너는 모습을 지켜본 세계인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떠내려온 쓰레기는 북태평양 해류를 타고 미국 캘리포니아와 캐나다까지 밀려갔다.  
 

세계 플라스틱 연 1000만t 바다로
북태평양 쓰레기섬은 남한 16배
소금·어류에 섞여 인류건강 위협
폐기물 감축·재활용 산업 육성을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는 찰스 무어 선장은 1997년 하와이 인근 태평양에서 ‘플라스틱 아일랜드’를 발견했다. ‘태평양 대 쓰레기장(Great Pacific Garbage Patch, GPGP)’이란 이름이 붙은 엄청난 규모의 플라스틱 쓰레기 섬이다. 넓이가 160만㎢로 남한의 16배에 이를 정도다. 8만t의 쓰레기가 1조8000억 조각으로 나뉜 채 떠다닌다.
 
지난달 26일 기자가 방문한 하와이 빅아일랜드 최남단 카울라나만 인근 해변. 가까이 다가가니 플라스틱 쓰레기가 마치 점박이 무늬처럼 눈에 박혔다. 하늘색의 찢어진 어망부터 노끈 조각, 볼펜 뚜껑, 주방용 세제 용기, 본래 상품을 짐작할 수 없는 찢어진 통까지 다양했다. 한국 어촌에서 붕장어를 잡을 때 흔히 쓰는 통발 마개도 보였다. 빅아일랜드에서 북동쪽으로 1600㎞ 떨어진 바다 위를 맴도는 GPGP는 언제든 대규모 플라스틱 쓰레기가 하와이 해변을 엄습할 거란 공포를 주고 있다.
 
전 세계 해양에 떠 있는 다섯 개의 쓰레기섬.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전 세계 해양에 떠 있는 다섯 개의 쓰레기섬.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지구의 대양에는 GPGP를 포함해 5개의 거대한 쓰레기 섬이 존재한다. 플라스틱을 비롯한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해양으로 쏟아져 들어간 탓이다. 유엔 환경계획(UNEP) 등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1950년대 이후 83억t의 플라스틱이 생산됐고, 이 중 50억t은 매립장으로 가거나 바다로 배출됐다. 현재도 전 세계에서 매년 3억t의 플라스틱 제품이 생산되고, 이 중 1000만t이 바다로 들어간다.
 
해양에 들어온 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이 돼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고, 어패류와 해조류, 소금을 먹는 인류의 식탁을 위협한다. 인류에게 편리함을 주던 플라스틱이 21세기 새로운 역병(疫病)으로 등장한 것이다.
 
“바다 유입된 뒤엔 뾰족한 방법 없어” 
 
태국 방콕 UNEP 아시아태평양사무소의 화학·폐기물 분야 담당자인 카쿠코나가타니-요시다 씨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들어간 다음에는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며 “플라스틱 재활용과 폐기 방식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연간 16만~17만t 정도의 각종 쓰레기가 육상에서 직접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있지만, 해양수산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매년 걷어내는 양은 10만t을 밑돌고 있다.
 
이런 해양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연세대-여시재 지속가능성 공동연구에 참여한 이태동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최근 발표한 ‘도시의 플라스틱 자원순환경제’ 보고서에서 “플라스틱 쓰레기의 바다 유입을 줄이기 위해서는 육상 쓰레기가 바다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수와 빗물 처리체계, 회수 재활용 폐기물 관리 체계를 잘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정부 차원의 대책도 중요하지만, 도시 차원에서 시민들이 참여하는 자원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폐기물 감축·재사용·재활용·자원회수 등 단계별로 신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분해 되는 데 걸리는 시간.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생분해 되는 데 걸리는 시간.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어업과 양식업에서 배출되는 것도 차단해야 한다. 국내에서는 그물·통발 등 어구가 연간 16만t씩 사용되고 있는데, 폭풍과 풍랑에 유실되거나 바다에 버려진 폐(廢)어구도 매년 4만5000t에 이른다. 인천녹색연합 장정구 정책위원장은 “일회용 그물은 회수율이 낮기 때문에 어업인들에게 일정 비율 이상의 어구를 수거·회수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 홍근형 서기관은 “최근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이 통과됐고, 내년 말 시행될 예정”이라며 “어구·부표에도 유리병처럼 보증금을 둬서 관리 체계를 구축할 것을 염두에 두고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 마닐라 해안에서 그린피스 활동가들이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펼치고 있다. [중앙포토]

필리핀 마닐라 해안에서 그린피스 활동가들이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펼치고 있다. [중앙포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심원준 소장은 “계절에 따라, 해류에 따라 쓰레기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과학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유인도와 무인도, 큰 섬과 작은 섬을 구분해 그에 맞는 쓰레기 처리 방법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환경부와 해수부, 지자체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해양 쓰레기를 전문적으로 재활용하고 처리하는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며 “해양 쓰레기를 회수·운반하고 분류·선별하는 매뉴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환경부 권병철 폐자원관리과장은 “오염방지 시설을 강화하는 조건으로 소형 소각로를 설치해 섬 쓰레기를 자체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반도 주변의 해양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의 긴밀한 협력도 필요하다. 연세대-여시재 지속가능성 연구의 ‘황해 오염’ 보고서(연구책임자 김성수 연세대 교수)는 “중국 양쯔강을 통해 배출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황해 생태계를 위협하고 우리의 식탁과 건강에도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식탁 공동체’인 한·중 양국이 육상 발생 플라스틱 폐기물의 규제, 공동 기술개발과 제품 기준 마련으로 폐어구 발생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김정연 기자,  
하와이=김민욱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본 기획물은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출처: 중앙일보] 바다 위 거대 쓰레기섬 5개…‘식탁 공동체’ 한·중 공동 대처를

온라인제보
주요사업
활동사례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